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 이하 농식품부)는 중국 내륙 지역인 시안에서 2016년 첫 번째 K-FOOD Fair를 개최함으로써 건강하고 안전한 한국식품 인지도 제고 및 한국 식품에 대한 소비 붐을 형성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시안은 서부지역 3대 소비시장 중 하나로 내륙지역 진출의 플랫폼 역할이 크며 삼성 등 서부지역에서 한국기업이 가장 많이 집결된 도시로서, ‘한식’과 ‘한국식품’에 대한 소비 확대 잠재력과 한국 상권이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는 곳입니다.
6월 3일 시안 윈덤 호텔에서 진행된 수출상담회에서는 최근 검역이 해소된 삼계탕, 쌀을 중심으로 팽이버섯, 건강식품, 차류, 음료류, 과자류 등 국내 25개의 식품 수출업체와 바이어 42개가 참가하여 1:1 상담회를 통해 290여건의 약 24백만불의 수출 상담 실적을 올렸습니다.
이날 수출상담회에는 내륙지역의 중심지인 시안 및 충칭은 물론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칭다오(靑島) 등지의 농식품 수입업체 바이어가 상담회에 참여 하였으며, 이중 과자류 수출업체 'A'사는 "행사 전 14개 업체의 중국 바이어와 상담이 예정돼 있었는데 예상보다 호응이 높아 20건의 수출 상담을 할 수 있었다며 그 중 세 곳 업체에서 실제 수입을 원하여, 현장에서 견적과 샘플을 제공하였다"고 전했습니다.
6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 동안 시안 시민들이 주로 찾는 이가촌만달광장에서는 한국 식품 소비자 체험행사가 진행되었습니다.
소비자체험행사에서는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개막행사를 비롯해 식품업체 홍보관, 수입업체식품전문관, 소비자참여 경품이벤트 등 한국식품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한복체험·투호놀이·사물놀이·비밥퍼포먼스 등 다양한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생동감있는 이벤트를 개최함으로써, 연일 33도를 넘는 더운 날씨에도 불구, 시안 시민 6만5천여명이 참여하는 대기록을 세웠습니다.
특히 소비자체험행사장에는 처음으로 현지 수입 바이어 전문 판매관을 설치함으로써, 현지 바이어들과 함께 내륙시장 공략에 나섰다. 시안지역은 한국식품의 직접 수입이 없어, 현지 경소상 발굴이 내륙 진출의 기폭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날 소비자 체험행사에 참여한 중국의 한 바이어는 "시안은 1선 도시 등에서 인기를 끈 품목들이 단계적으로 시안으로 들어오기까지 거의 1~2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과즙우유, 제과류, 음료, 면류 등 신규 거래처 발굴을 위한 최적의 지역"이라고 말하면서, 한국 정부의 많은 지원과 관심을 요청하였습니다.
중국은 최근 <태양의 후예> 등 중국 內 한류로 인해 인삼, 삼계탕 등 K-Food 및 한국 식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대중국 수출이 크게 늘어날 전망으로서, 올해에는 일본을 제치고 중국이 한국 농식품 제 1위 수출국으로 부상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정부는 향후 삼계탕, 홍삼 등 한류 영향으로 주목받는 품목처럼 중국에서 히트 가능성이 높은 상품을 발굴해 온·오프라인 마켓테스트, 바이어 발굴 등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전한영 수출진흥과장은 "시안에서 K-Food Fair 개최를 통해 중국 내륙시장 수출 확대의 계기가 되었고, 한국 농식품을 중국의 많은 소비자들에게 알리는 시간이 되었으며, 실질적인 수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히며, 또한 “우리 농식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올해 중국, 동남아, 할랄 등 주요 전략시장에서 종합적인 홍보와 판촉행사를 위한 K-Food Fair, 해외 신규 거래선 발굴과 제품 홍보를 위한 박람회 참가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과거 농업 자료(~2021) > [농업 정책]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농업을 리딩 하다! 2016 귀농귀촌 일자리 창업박람회 후기 (0) | 2016.06.17 |
---|---|
공모전] 목장체험 아이디어 공모전 안내 (0) | 2016.06.17 |
농업박물관, 도심 속에서 선조들의 지혜와 역사를 배우다 (0) | 2016.06.17 |
[KTV] 집중호우·태풍 가능성…농업재해 대책 시행 (0) | 2016.06.17 |
41년의 역사 가락동 시장을 가다! (0) | 2016.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