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 농업 자료(~2021)/[농업 정책] 기사

스마트 팜 확산 성과 구체화되기 시작

by 청년농사꾼 2016. 7. 7.




농림축산식품부 이동필 장관은 ‘스마트 팜 확산 성과 상반기 점검회의’를 개최하여 지난 4월 발표한 『스마트 팜 확산 가속화 대책』의 추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이날 회의에는 농촌진흥청,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농협 등 유관기관과 지방자치단체(경상남도, 진주시)가 참석하여 관련 업무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스마트 팜 선도농가 및 관련 기업, 학계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현장의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을 전달했습니다.


농식품부는 현장에서 스마트 팜 보급이 차질 없이 진행 중이며, 농업인 교육 및 홍보, 관련 기업과의 협력강화 등 확산 여건을 정비하기 위한 과제들도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① 올해 신규 도입된 시설원예 수출전문 스마트 팜 신축사업은 사업물량 대비 수요가 2배 수준으로 많아, 현장 조사 및 전문가 평가를 거쳐 7월 중 대상자를 최종 선정할 계획입니다.
    * (사업규모) 16ha, 100억원 / (신청규모) 28ha, 346억원


② 축산 분야는 ‘15년 양돈‧양계에서 '16년 젖소‧한우까지 스마트 팜 적용 축종을 확대한 결과, 이미 예비신청 농가 수가 291호로 올해 보급 목표(200호)를 초과하는 등 현장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③ 스마트 팜을 도입한 농가가 시설을 100% 활용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전문 교육과정도 대폭 확충했습니다.

'15년에 스마트 팜 첨단기술 공동실습장을 지정(ATEC, JATC, 천안연암대)한 이후, 올해 처음으로 첨단 실습교육을 실시하였으며, ICT 등 신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은 젊은 후계농 대상 스마트 팜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교육을 조기에 개시하여 올해 상반기에만 농업인 및 예비농업인 2,430명에게 스마트 팜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④ 스마트 팜 도입을 희망하는 농업인과 도입 초기 농업인들이 자신의 상황에 맞는 스마트 팜을 도입하여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품목‧시설수준‧규모별 65개 스마트 팜 선도모델을 발굴하고 11개로 유형화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 


⑤ 또한 SKT, KT 등 정보통신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 팜 도입 농가의 데이터 요금을 2년간 면제하기로 하였으며, 별도의 스마트 팜 전문 교육장 운영도 준비 중입니다.


⑥ 스마트 팜 주요 기자재를 표준화하고 시설원예 분야의 한국형 스마트 팜 표준모델을 개발하여 품질 좋은 스마트 팜을 값싸게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온‧습도, CO2 등 스마트 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센서기 13종에 대한 단체표준을 등록(’16.6)하여 제품간 호환성을 높이고 부품교환 등 사후관리의 편의성도 향상시켰습니다.
단동형‧연동형 비닐온실 스마트 팜 표준모델 플랫폼은 민간 기업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불필요한 시설을 단순화하여 보급단가도 인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⑦ 시설원예 분야 스마트 팜 보급사업에 품질보증제도를 도입(’16.1)하여 기업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스마트 팜 통합 콜센터(‘16.1, 1522-2911) 및 불만제로 SNS 밴드를 개설(’16.2)하여 농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A/S 등 사후관리 서비스를 개선하였습니다.


농식품부는 유관기관 및 지자체의 역량을 결집하고, 남아 있는 과제들도 차질 없이 추진하여 스마트 팜 확산 성과를 더욱 내실화하며 농가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① 특히, 농업인의 초기 시설투자 부담 완화를 위해 새로 도입한 민간투자 유치방안은 아직 현장 수요자들의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 관련 제도들을 통합 홍보하여 농업인들이 다양한 투자유치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자신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② 더불어 빅데이터 기반의 최적 SW 개발을 위해 농정원‧농진청에서 보유한 선도농가 생육‧환경‧경영정보와 품목별 영농기술, 병충해 DB 등을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과 공유하는 방안을 마련합니다.


③ 스마트 팜 외연 확대를 위하여 인삼, 대파 등 노지 밭작물 스마트 팜 모델 개발에 집중하고, 식물공장의 경제성 분석 및 비즈니스 모델개발 연구도 연내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④ 또한 농업인들이 스마트 팜 선도모델, 관련 지원사업, 교육일정, 기업 정보 등을 더욱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스마트 팜 대표 홈페이지 활성화, 선도농가 사례집(책자), 카드 뉴스, SNS, 박람회 등 다양한 홍보수단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이동필 장관은 회의를 주재한 후 표고버섯에 스마트 팜을 최초로 적용한 GNA 영농조합법인(대표 김영찬, 이하 GNA)을 방문하여 스마트 팜 확산‧보급 현장을 점검했습니다.


표고버섯은 버섯 생산액 1위 품종이나, 중국산 배지를 사용하는 농가가 많고 느타리 등에 비해 정밀한 생육관리도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GNA는 지속적인 R&D 및 KT(회장 황창규)와의 협업을 통해  국내 기술, 국산 원료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표고버섯을 개량한 이슬송이 버섯을 자체 개발하고, 국산 배지를 대량 생산 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하였으며, 연중 생산이 가능하도록 KT의 스마트 팜을 도입하여 버섯 재배에 가장 중요한 온‧습도, CO2를 자동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GNA와 KT는 스마트 팜의 생육관리 기능을 고도화 하는 한편, 귀농‧귀촌인 등을 대상으로 스마트 팜 보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최적 생육환경을 자동으로 유지‧관리하는 생육관리 S/W를 개발하여 처음 버섯을 재배하는 농업인도 쉽게 농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위탁 생산방식으로 참여 농가에 배지를 공급하고 생산물은 공동출하하여 안정적으로 소득을 올릴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댓글